안녕하세요 오늘은 치경부 마모증 치료 알아보고 있어요. 한겨울에도 무조건 아이스 아메리카노 고집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요즘처럼 날씨가 점점 더워지는 때에는 찬음료를 더 자주 드시게 될 것인데요, 그런데 찬 것을 먹을때마다 유난히 시리고 찌릿한 치아가 있을 거예요. 또 바람이 들어간다거나 해도 시릴 수 있는데, 이때는 치경부 마모증 치료 해야할 수도 있어요.
치경부 마모증 치료 라고 하는 것은 이 시림의 대표적인 원인을 치료하는 것인데요, 치경부 마모증 치료 라고 하는 것은 마모된 치경부를 레진으로 때워주는 것으로 복잡한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레진은 치아 색상의 재료로, 치과치료에 폭넓게 사용하고 있는데요, 작은 부위에 시술하면 거의 내 치아같아보이고 때운 흔적도 티가 거의 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치경부 마모증 치료 처음 들어보신 분들도 있으실 텐데요, 치경부라고 하는 것은 우리 치아가 잇몸과 가까이 있는 부위를 말하고 있어요. 우리의 치아는 법랑질이라고 하는, 우리 인체중에서도 가장 딱딱한 부위로 싸여져 있는데, 이것이 뿌리쪽으로 갈수록 얇아지게 되어 있습니다. 법랑질 안쪽에는 상아질과 신경이 지나가는데, 이 신경이 외부로 노출될수록 이 시림이 증상을 더욱 강하게 느낄 수가 있는 거예요.
치경부 마모증 치료 라고 하는 것은 이 치경부가 닳은 부분을 때워주는 것인데, 어떻게 이가 닳느냐고 물으실 수도 있지만, 양치질을 억센 칫솔로 오랜 동안 세게 한다면 치경부가 지속적으로 닳을 수 밖에 없음니다. 이렇게 치경부가 마모되면 내부의 상아질과 신경이 겉으로 드러나게 되어서 아무래도 외부 노출이 되고, 이런 이유로 이시림이 발생할 수 있는 거예요.
치경부 마모증 치료 같은 경우에는 법랑질이 얇아진 부분만 레진으로 살짝 때우기만 해도 금방 좋아지는데요, 이시림 이유가 꼭 치경부 마모증 때문만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어금니 같은 곳에 충치가 생겼고, 이 충치가 생긴 부분이 신경까지 파고들었다라고 한다면, 가만히 있어도 이가 시리거나 심지어 통증까지도 느낄 수가 있는 거예요. 이렇게 충치가 신경근처나 신경을 파고든 상황에서는 치아가 시린 상황을 충분히 느끼실 수가 있습니다.
이렇게 치아의 신경까지 손상된 경우라고 한다면 신경치료를 통해서 손상된 신경을 제거해주고, 밀몽한 뒤 크라운을 씌워주어야지 그 치아를 오랫동안 살려서 쓰실 수 있습니다. 신경치료 한 치아는 약해지기 때문에, 금이나 지르코니아, 올세라믹, PFM등 다양한 재료 중에 맞는 재료 선택하셔서 보호해서 꼭 오랫동안 사용하시길 바라고 있습니다.